오금역 (352) (P552) 梧琴駅, Ogeum Station |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 |
1996년 3월 30일 개업 (5호선) 2010년 2월 18일 개업 (3호선) |
두 노선 모두 2면 2선 상대식 지하 승강장 |
※ 가지고 있는 타이틀 「국내 최초로 영업 중 운영기관이 바뀐 역」 「마천지선의 첫 환승역」 |
2010년 2월 18일 (개통일), 2010년 5월 16일 두 번에 걸쳐 방문하였습니다.
이 포스트는 실시간 정보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NIKON | E7900 | Normal program | Partial | 1/580sec | F/4.8 | 0.00 EV | 7.8mm | ISO-50 | Off Compulsory | 2010:02:18 11:12:08
오금이 저리십니까?
NIKON | E7900 | Normal program | Pattern | 1/30sec | F/2.8 | 0.00 EV | 7.8mm | ISO-62 | Off Compulsory | 2010:02:18 11:13:29
2010년 2월, 3기 지하철 계획의 두 번째 노선이 개통합니다. (첫번째는 서울 지하철 9호선)
그야말로 동남권 교통의 혁명(?) 이라 하는 3호선 연장.
NIKON | E7900 | Normal program | Partial | 1/20sec | F/2.8 | 0.00 EV | 7.8mm | ISO-50 | Off Compulsory | 2010:02:18 11:14:51
기존에 송파구에서 강남구로의 이동은 8호선과 2호선을 이용한 우회 루트를 제외하곤
거의 버스에 의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는데요,
이 3호선의 짧은 연장으로 굉장한 네트워크 효과를 이끌어냅니다.
달랑 3정거장 만들었지만 분당선 - 8호선 - 5호선을 전부 묶었으니까요.
Canon | Canon EOS 450D | Shutter priority | Pattern | 1/50sec | F/5.0 | 0.00 EV | 41.0mm | ISO-800 | Off Compulsory | 2010:05:16 12:53:35
그리고 그 종착역인 오금역.
그리고 이 역의 운영권은 전부 서울메트로에게 넘어갔습니다.
5호선 승강장까지 전~부.
운영 도중에 운영 기관이 바뀐 국내 최초의 사례죠.
Canon | Canon EOS 450D | Shutter priority | Pattern | 1/50sec | F/5.6 | 0.00 EV | 18.0mm | ISO-800 | Off Compulsory | 2010:05:16 12:55:43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춰 깔끔하게 지어진 역.
처음 9호선 건설 당시 "디자인이니까 존중해주시죠?" 도 아니고, 엄청난 안내판의 축소로 인한 이용객들의 불편이 있었는데 -_-
3호선 연장 구간은 그 점에서는 조금 나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Canon | Canon EOS 450D | Shutter priority | Pattern | 1/50sec | F/3.5 | 0.00 EV | 18.0mm | ISO-800 | Off Compulsory | 2010:05:16 13:04:30
이 곳은 5호선 오금역.
마천지선의 최초의 환승역이기도 합니다.
'Project > 수도권 전철 전역 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0.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0) | 2012.08.05 |
---|---|
029. 안산선 ・ 수인선 오이도역 (0) | 2012.08.05 |
028. 서울 지하철 3호선, 5호선 오금역 (0) | 2012.08.05 |
027. 안산선 안산역 (0) | 2012.08.05 |
026. 경춘선 대성리역 (0) | 2012.08.05 |
025.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0) | 201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