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용
▲ 차량 제원표
제네시스 G70(IK) 2.2D 2020년식
◇ 최고출력 202/3,800 은 3800rpm에서 최고 출력 202마력이 나온다는 의미
◇ 최태토크 45.0/1,750~2,750은 1750~2750rpm에서 최대 토크 45.0kgf·m 가 나온다는 의미
토크와 출력의 관계
● 토크의 단위는 N·m, 출력의 단위는 W 이지만
한국에서는 토크를 kgf·m, 출력을 마력으로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1kgf·m = 9.807N·m, 1마력 = 745W)
● 출력은 토크 × 엔진회전수로 구할 수 있다. 실제론 단위가 다르므로 변환계수를 나눠줘야 하는데 아래와 같음
☞ 출력(마력) = 토크(kgf·m) × 엔진회전수(rpm) ÷ 726
왜 그렇게 되냐면
▶ 1kgf·m = 9.807N·m 이고
▶ 1rpm은 1분에 한바퀴를 돈다는 뜻이므로 2π rad를 1분에 도는 것이 된다. 2π는 6.283이므로 6.283/60초 = 0.1047
즉 1rpm = 0.1047rad/s 가 된다.
▶ N·m은 에너지 단위 J과 차원이 같고, rad는 무차원수이며 J/s = W 이다.
▶ 1마력은 745W 이다
▶변환 상수를 모두 넣으면
토크(kgf·m) × 9.807 × 엔진회전수(rpm) × 0.1047 ÷ 745 = 출력(마력) 이 되며
이를 정리하면 토크 × 엔진회전수 × 0.0013782 = 토크 × 엔진회전수 ÷ 725.56 을 얻음
◇ 위에서 든 예시인 제네시스 G70 2.2D 차량(최대토크 45.0kgf·m) 인 차량을 3000rpm로 가속시키면 186마력이 나온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 출력은 엔진회전수(rpm)에 비례하지만, rpm이 올라가면 토크가 오히려 떨어지므로 무조건 최대 rpm에서 최대 출력이 나오지는 않는다.
대충 이런 곡선을 그리게 됨
참고로 이건 가솔린 기준이고 디젤은 그래프가 좀 다른데 엔진별 토크 곡선까지 설명하면 이 글의 취지와 별로 안 맞으므로 패스
● 전기차는 좀 특이한데요
전기차 토크 곡선이 아주 기가막힌데, 전기차는 모터 회전수 0rpm부터 이미 최대토크로 스타트라 rpm을 띄울 필요도 없이 미친듯이 치고 나감
3억 넘는 스포츠카가 덤벼도 6천만원짜리 테슬라 모델3를 못 이기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인데
대신 고rpm에서의 토크 감소가 심하고 변속기가 없는 특성상 고속영역에서 가속이 더딤
근데 고속영역이란 게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에 저촉되는 영역부터이기 때문에 아마 충전 인프라 갖춰지면 다 전기차로 가지 않을까 생각
속도와 rpm의 관계
● 차의 속도는 오로지 rpm의 영향을 받는다. 엔진이 회전하면, 기어에 물려 바퀴가 회전. 기어는 엔진의 회전수와 바퀴의 회전수를 다르게 해줄 수 있다
여기서 나오는 개념이 기어비
[각 단수 기어비] × [종감속비] 만큼 엔진이 회전할 때, 바퀴가 한 바퀴 돌게 된다
예를 들어 1단이라면, 3.308×4.467 = 14.78이므로 엔진이 14.78번 회전하면 바퀴가 한 바퀴 돌게 된다
● rpm과 타이어 사이즈, 기어의 종감속비와 기어비를 알면 차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타이어 사이즈는 폭/편평비/휠지름으로 나타내는데, 225/40/18R 이면 폭 225mm, 편평비 40%, 휠지름 18인치를 뜻한다
☞ 속도 (km/h) =
[ 3.78 × 타이어폭(mm) × 편평비(%) + 4800 × 휠지름(inch) ]
× 엔진회전수(rpm) ÷ (기어비 × 종감속비 × 1000000)
폭을 A, 편평비를 Z, 지름을 R이라고 할 때
– 타이어 폭에 편평비를 곱한 값이 타이어 자체의 두께
– 타이어 두께의 2배와 휠 지름을 더하면 휠과 타이어를 포함한 총 높이를 뜻하며 이게 곧 타이어의 외경이 됨
– 휠지름은 인치이고 폭은 mm이기 때문에 단위를 맞춰준다.
즉 타이어 외경 = (2AZ+25.4R)×π 이며 타이어의 둘레는
(0.063AZ+80R)÷1000 (m) 가 된다
예를 들어 225/40/18 사이즈의 타이어 이면 (0.063×225×40+80×18) ÷ 1000 = 2.005 미터가 둘레.
여기에 엔진회전수를 곱하면 속도를 알 수 있다. 1000rpm이라면 분당 1000회 회전이므로 1분에 2000미터를 간다.이것을 일반적인 속도 단위인 km/h로 환산하기 위해 60/1000 을 곱하면 120km/h를 얻는다
그러나 이것은 엔진과 바퀴의 기어비가 1:1일 때의 속도이므로, 기어비와 종감속비로 나눠 최종 속도를 얻는다아반떼 스포츠 1.6 터보 1단에서의 기어비와 종감속비의 곱은 14.78 이므로 최종적으로 8.1km/h임을 구할 수 있다.
즉, (0.063AZ + 80R) ÷ 1000 × 엔진회전수 × 60 / 1000 / 기어비 / 종감속비= (0.063AZ + 80R) × 엔진회전수 × 60 ÷ (기어비 × 종감속비 × 1000000)
= (3.78AZ + 4800R) × 엔진회전수 ÷ (기어비 × 종감속비 × 1000000)
◇ 위에서 든 예시와 같이 225/40/18 타이어를 쓰고 6단 기어비가 0.633이고 종감속비가 4.467일 때 2000pm에서의 속도를 구해보면
타이어 둘레는 2.005m이고 2000rpm 6단에서 시속 85km가 나옵니다.
사족
한국 도로에서 어차피 밟지도 못하는데 300마력 400마력 되는 고성능 차량이 왜 필요하냐 이러는 거는 최대출력이라는 개념을 잘 이해 못하는 것임
76.5kgf·m 608마력인 BMW M5나, 9.6kgf·m 75마력인 쉐보레 스파크나 대한민국 고속도로에서는 100키로로 가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M5는 1500rpm 으로만 밟아도 이미 150마력이죠. 스파크는 150마력을 애초에 낼 수도 없음
(왜 1500rpm이냐면 M5가 8단 놓고 달리면 딱 99km/h 나옴)
즉, 훨씬 여유로운 운전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경차는 일상주행만 해도 최대출력을 내야 운행이 가능하지만 고성능 차량은 스트레스 없이 저rpm으로도 치고 나갈 수 있습니다
공도에서 고성능차를 타면 600마력이라는 출력을 다 쓰지 않는 것 처럼 보이지만, 76.5kgf·m 라는 토크는 분명히 다 쓰고 있습니다.
출력(마력)은 그냥 토크와 rpm에서 나온 결과물일 뿐이고, 실제 차량의 성능인 토크는 시내 주행에서도 얼마든지 다 끌어쓸 수 있는데
고성능차 사서 100키로로 달린다고 해서 차 성능을 다 발휘 못하는 게 아님
경차 출력으로 고속도로 주행 문제 없는데 뭣하러 고성능차를 사냐는 말은
원룸에서 살아도 충분한데 뭐하러 50평 아파트에서 사냐 뭐 이런 거랑 비슷한 이치라 생각함
근데 이렇게 써놓으면 “토크가 높으면 장땡” 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는데 이거는 또 최대토크라는 개념을 .. 하
고속버스로 쓰는 기아 그랜버드가 214kgf·m 라는 미친 토크를 내지만 이거 나오는 영역이 딱 1000~1500 사이고 rpm 레드존이 2500부터입니다
저rpm으로 가니까 속도도 잘 안 붙죠. 이건 차의 중량을 이기기 위해 고토크 저rpm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이런 식으로 종합적인 제원을 다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고
“토크가 높으니 좋겠군!” “마력이 높네!” 하고 단순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다 따져보면, 고성능차는 다 그렇게 세팅된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말 하고 싶어서 위에 있는 글 쓴거임
흔히 말하는 제로백도 이 글과 연관이 깊겠군요.
물론 굳이 여기에 찬물을 끼얹는다면 전기차는 같은 200마력이라고 해도 거의 전 영역에서 200마력이라 꽤 경쾌하다는 정도…
전기차는 반칙이니까 내연기관 옆에 붙이면 안 됩니다
그렇다면 연비와도 상관관계가 있겠죠?
예를 들어 같은 100km/h로 고속주행한다고 할때 경차는 최대출력으로 운행하니 연비 깎아먹지만 고성능 차량은 저rpm으로 달리니 의외로 연비 차이가 크게 안난다던가…
아 아주 고배기량이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요.
네. 그래서 디젤이 연비가 대체적으로 좋게 나옵니다 (디젤은 고토크 저rpm으로 달리니
고성능차량들도 저rpm으로 달릴 수 있다곤 하지만.. 역시나 배기량 차이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경차 연비를 이기긴 힘들겁니다. 4.4L 터보엔진과 996cc 자연흡기 엔진은 연료를 먹는 양부터가 아예 달라져버리죠
고성능차보다는 경차vs준중형이 적당할건데, 준중형 아반떼(15,2)와 경차 모닝(16.0)의 고속연비를 비교해보면 둘이 별 차이가 없습니다. 배기량은 아반떼가 거의 두 배 높은데도 말이죠. 토크가 높아서 rpm을 훨씬 적게 쓸 수 있으니까.지금은 단종됐지만 소형차인 액센트의 연비가 아주 기가 막혔죠.
대단히 중요한 사항은 아니지만, 1마력=75kgf*m라서 75N*9.8 m/s^2= 735 W 이지 않나요?? 1마력을 말 한마리 (75kgf)가 내는 동력이라고 배워서요.
찾아보니 마력이 2가지더군요
1 hp = 745.69987158227022 W
1 ps = 735.49875 W
모두 참값입니다
잘봤습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 근데 한가지 타이어지름이 2미터라는건 … 오타가 아닌지…
그러네요ㅋㅋㅋㅋ 타이어의 “둘레”가 2미터입니다 수정했습니다
토크는 기어비와 감속비를 거쳐 어떻게 변하나요?
엔진이 최대토크로 작동될 때, 바퀴로 전달되는
실제 구동력은 어떻게 계산하죠?
급발진 사고났을 때,
엔진최대토크로 실제 바퀴에 전해지는 구동력을
계산해보고
브레이크로 제동이 가능한지 연구해봅시다.
브레이크의 힘은 차량중량의 70% !
2톤 팰리세이드 차량을 1400kg힘으로 밀면
바퀴가 못 버티고 굴러갑니다.
마력의 계산식이 잘못된것 같습니다. kgf 은 N으로 rpm 을 rad/sec 로 단위를 변환해야지 단순히 735를 나누는것은 맞지않습니다
본문을 읽어보신 게 맞나요?
엔진 마력 = 엔진 토크 * 엔진 회전수
가 아니라
엔진 파워 = 엔진 크랭크 샤프트 토크 * 엔진 크랭크 샤프트 회전 속도
가 되어야 합니다 .
rad/sec는 회전수가 아니라 회전 속도입니다. rpm도 회전수가 아니라 회전속도입니다.
이렇게 해서, 파워를 구한후, 1 마력 745W로 나누어, 최종 마력을 구해야 합니다.
revolutuon per minute이니 속도가 맞겠네요. 그리고 각속도도 그렇구요
캬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고속버스 타고 가다가 마력이랑 토크 관계가 궁금했는데 양질의 글 감삼다
마력 계산 과정에서 참값을 사용하면 대략 726.13066… 정도네요~
중력가속도 = 9.80665 m/s²
1 rpm = (π / 30) rad/s
1 hp = 745.69987158227022 W